창조 이전부터 존재하신 하나님 아들(요 8:48-59)
무시당하시는 예수님(요 8:48-51)
48 유대 사람들이 예수께 말하였다. "우리가 당신을 사마리아 사람이라고도 하고, 귀신이 들렸다고도 하는데, 그 말이 옳지 않소?"
49 예수께서 대답하셨다. "나는 귀신이 들린 것이 아니라, 나의 아버지를 공경한다. 그런데도 너희는 나를 모욕한다.
50 나는 내 영광을 구하지 않는다. 나를 위하여 영광을 구해 주시며, 심판해 주시는 분이 따로 계신다.
51 내가 진정으로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의 말을 지키는 사람은 영원히 죽음을 겪지 않을 것이다."
아브라함 이전부터 계신 예수님(요 8:52-59)
52 유대 사람들이 예수께 말하였다. "이제 우리는 당신이 귀신 들렸다는 것을 알았소. 아브라함도 죽고, 예언자들도 죽었는데, 당신이 '나의 말을 지키면, 영원히 죽음을 겪지 않을 것이다' 하니,
53 당신이 이미 죽은 우리 조상 아브라함보다 더 위대하다는 말이오? 또 예언자들도 다 죽었소. 당신은 스스로를 누구라고 생각하오?"
54 예수께서 대답하셨다. "내가 나를 영광되게 한다면, 나의 영광은 헛된 것이다. 나를 영광되게 하시는 분은 나의 아버지시다. 너희가 너희의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분이시다.
55 너희는 그분을 알지 못하지만 나는 그분을 안다. 내가 그분을 알지 못한다고 말하면, 나도 너희처럼 거짓말쟁이가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버지를 알고 있으며, 또 그분의 말씀을 지키고 있다.
56 너희의 조상 아브라함은 나의 날을 보리라고 기대하며 즐거워하였고, 마침내 보고 기뻐하였다."
57 유대 사람들이 예수께 말하였다. "당신은 아직 나이가 쉰도 안되었는데, 아브라함을 보았다는 말이오?"
58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진정으로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아브라함이 태어나기 전부터 내가 있다."
59 그래서 그들은 돌을 들어서 예수를 치려고 하였다. 그러자 예수께서는 몸을 피해서 성전 바깥으로 나가셨다.
<말씀묵상>
예수님을 대적하는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어떻게 모욕했나요?
죄의 종은 진리를 알지 못하며 믿지 않습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사마리아 사람'이라며 비난합니다(48절). 이는 상종하지 말아야 할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4:9). 또한 '귀신들렸다'고 비난합니다(48절). 이는 정상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은 아버지를 공경하는 자신을 그들이 무시한다고 하십니다(49절). '무시하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티마조'는 '모욕하다, 창피를 주다, 헐뜯다'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이는 대적자들의 행동이 어떠했는지 잘 보여 줍니다. 그런 상황에서 예수님은 자기 영광을 구하지 않으시고 하나님을 공경하시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십니다(50절). 그리고 "내 말을 지키면 영원히 죽음을 보지 아니하리라"(51절)라며 영생에 관해 교훈하십니다.
상대방을 선한 의도로 대했는데 오히려 모욕을 당할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하나요?
모욕을 당할 때, 감정적으로 화를 내거나 분노를 표출하는 대신, 진리를 차분하게 설명함으로써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가 신앙과 선행에 대한 대가를 이 땅에서 받으려는 생각을 버리고 하나님 나라의 상급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억울한 일을 당하고 모욕을 당할 때, 오히려 기뻐하고 하늘의 상을 기대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온유함을 본받아 어떤 상황에서도 복음의 말씀을 전해야 합니다. 우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진리를 왜곡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을 충실히 따라야 합니다. 우리는 억울한 일을 당할 때,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판단하시고 공의롭게 갚아주실 것을 믿고 신뢰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 자신을 돌아보고 겸손하게 진리를 추구해야 합니다.
유대인들이 돌을 들어 예수님을 죽이려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수님을 유한한 존재로 알면 진리에 이를 수 없습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유한한 존재로 여겼기에 조상 아브라함과 비교하며 예수님 말씀을 거부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아브라함도 그리스도를 보리라 기대했고, 마침내 보고 기뻐했다고 하십니다(56절). 그리고 아브라함 전부터 존재한 자신의 신적 기원을 알리십니다(58절). 예수님을 하나님 아들로 믿지 못하는 유대인들은 신성 모독으로 여겨 돌로 치려 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숨어' 성전에서 나가십니다(59절). '숨다'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수동태로 예수님이 하나님에 의해 숨겨져 성전에서 나가신 것으로 봅니다. 예수님은 시간 이전부터 존재하신 하나님 아들입니다.
이해할 수 없는 사람 혹은 일에 대해 나는 어떻게 반응하나요?
예수님은 유대인들이 자신을 모욕했을 때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으셨습니다. 대신, 자신이 하나님을 공경하며 그분의 뜻을 따르고 있음을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도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나 사람을 만났을 때,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객관적인 진리를 차분하게 설명하며 상황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에게 인정받으려는 생각을 버리고 오직 하나님께 인정받으려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세상의 영광보다 하늘의 영광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때, 예수님의 온유함을 본받아 복음의 말씀을 전해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진리를 왜곡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을 충실히 따라야 합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갖은 모욕과 협박에도 말씀을 전하시며 아버지의 영광을 구하셨던 주님의 길을 따르겠습니다. 상황이나 환경에 꺾이지 않고 말씀을 지키는 자에게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을 기억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제 영광은 내려놓고 오직 주님의 영광으로 기버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