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y

전쟁을 피하고 화평을 따르는 선택(민 20:14-21)

Posted by 행복한 말씀묵상팀 on

에돔을 통과하려는 이스라엘( 20:14-17)

14 모세는 가데스에서 에돔 왕에게 사신들을 보냈다. "임금님의 형제 이스라엘은 다음과 같이 요청하는 바입니다. 임금님께서는 우리가 겪은 온갖 고난에 대하여 알고 계실 줄 압니다.

15 일찍이 우리의 조상이 이집트로 내려갔고, 우리는 오랫동안 이집트에서 살았습니다. 그런데 이집트 사람이 우리와 우리 조상들을 학대하였습니다.

16 그래서 우리가 주님께 부르짖었더니, 주님께서는 우리의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천사를 보내셔서 우리를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임금님의 영토 경계에 있는 성읍, 가데스에 와 있습니다.

17 바라옵기는, 우리가 임금님의 땅을 지나가도록 허락하여 주십시오. 밭이나 포도원에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샘물도 마시지 않겠습니다. 우리는 다만 '왕의 길’만 따라가겠습니다. 임금님의 영토 경계를 다 지나갈 때까지, 오른쪽으로나 왼쪽으로 벗어나지 않겠습니다."

에돔 왕의 거절( 20:18-21)

18 그러나 에돔 왕은 모세에게 다음과 같이 회답하였다. "당신은 절대로 나의 땅을 지나가지 못할 것이오. 지나가려고 꾀한다면, 우리는 칼을 들고 당신을 맞아 싸우러 나갈 것이오."

19 이스라엘 자손은 다시 그에게 부탁하였다. "우리는 큰 길로만 지나가겠습니다. 그리고 우리나 우리의 가축 떼가 임금님의 물을 마시면, 우리가 그 값을 치를 것입니다. 우리는 다만 걸어서 지나가기만을 바랍니다. 그 밖에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습니다."

20 다시 그가 답변을 보내왔다. "당신은 지나가지 못하오." 그런 다음에 에돔 왕은 많은 군대를 무장시켜서, 그들을 맞아 싸우러 나왔다.

21 에돔 왕이 이스라엘을 그 영토 경계로 지나가지 못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그들에게서 돌아서야만 하였다.

            

<말씀묵상>

모세가 에돔 왕에게 요청한 것은 무엇이었나요?                                       

가데스는 에돔 변방에 위치합니다. 모세는 가데스에서 에돔 왕에게 협조를 구하고자 사신을 보냅니다. 에돔은 에서의 후손으로 이스라엘(야곱)과는 형제 관계입니다. 모세는 ‘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해 에돔과 이스라엘의 조상이 같음을 강조합니다(15절). 그는 조상들이 이집트에서 당한 학대를 언급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출애굽하게 된 일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자신들이 에돔 땅을 통과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그는 ‘왕의 ’로만 지나가고 에돔의 재산에는 어떤 피해도 주지 않을 것임을 강조합니다. ‘왕의 길’은 남북을 잇는 국제 무역로로 암몬, 모압, 에돔을 통과합니다. 모세는 백성을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요청할 때 나는 어떤 태도로 상대방을 설득하나요?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요청할 때, 최대한 정중하고 합리적인 태도로 접근하며 상대방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선하고 합리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거절당할 수 있음을 예상해야 하며, 상대방의 거절이 단순히 그 요청 자체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더 깊은 내면의 문제나 하나님의 섭리 때문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거절에 직면했을 때는 감정에 치우치거나 인간적인 힘으로 밀어붙이기보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인도하심에 전적으로 순종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때로는 돌아가는 길, 혹은 거절 그 자체가 우리에게 유익한 하나님의 도구일 수 있음을 기억하고 겸손히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에돔이 이스라엘의 요청을 거절하자 모세는 어떤 선택을 했나요? 

모세의 기대와 달리 에돔은 이스라엘을 형제 관계로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공격적으로 대합니다. 에돔 왕은 모세의 요청을 거절하고, 만약 이스라엘이 에돔 땅을 통과한다면 칼을 들고 나가 대적하겠다며 위협합니다. 이스라엘이 재정적 손해를 끼치지 않겠다고 거듭 다짐함에도 에돔 왕은 완강하게 거절하며, 도리어 많은 백성을 거느리고 나와 강한 손으로 이스라엘을 저지합니다. 이스라엘은 평화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며 전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길로 돌아갑니다. 겸손히 최선을 다하지만, 정당한 요청이 거절당할 때도 있습니다. 원하는 길이 막힐 때에도 성도는 하나님 뜻을 구하며 화평의 길을 추구해야 합니다. 

갈등 상황 속에서 평화로운 해결책을 위해 내가 선택할 길은 무엇인가요?

갈등 상황에서 평화로운 해결을 시도할 , 단계는 상대방을 존중하며 우리의 필요를 알리고, 상대방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대한의 배려를 담아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평화로운 해결을 시도했음에도 거절당했을 , 상대방의 반응이 단순히 논리나 이익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깊은 감정적, 역사적, 영적인 뿌리를 가질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갈등 상황에서 우리의 합리적인 시도가 거절당했을 ,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먼저 하나님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 기도와 말씀을 통해 분별해야 합니다. 평화로운 해결이 좌절되고 거절당했을 , 상황 자체를 우리의 겸손을 위한 하나님의 도구로 인식하고 하나님 앞에서 우리 자신을 돌아보며 다듬어져야 부분은 없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가시' 싸우기보다, 그것을 통해 우리를 길들이시려는 하나님께 순복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타인을 위하지 않고 조금도 손해 보지 않으려는 에돔을 보며 저를 돌아봅니다. 기대와 달리 어려움을 주는 이들을 만날 때 분개하거나 억울해하지 않고 하나님만 의지하며 신뢰하게 하소서. 미움이나 원망을 품지 않고 그 일에 깃든 하나님 뜻을 헤아리는 지혜를 주소서.

Comments

to leave comment

© 2025 행복한교회 DFW   |   5517 Denton Hwy, Haltom City, TX US 7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