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y

우리의 치욕을 기억하시고 구원을 베푸소서(시 89:38-52)

Posted by 행복한 말씀묵상팀 on

다윗에게 주신 언약( 89:38-45)

38 그러나 주님은, 주님께서 기름을 부어서 세우신 왕에게 노하셨습니다. 그를 물리치시고 내버리셨습니다.

39 주님은 주님의 종과 맺으신 언약을 파기하시고, 그의 왕관을 땅에 내던져 욕되게 하셨습니다.

40 주님께서 모든 성벽을 허무시고, 요새를 폐허로 만드셨습니다.

41 길로 지나가는 사람마다 그를 약탈하고, 그는 이웃들에게 수치거리가 되었습니다.

42 대적들의 오른손을 치켜올려 주셔서, 원수들만 기뻐서 날뛰게 하셨습니다.

43 또 그의 칼날을 무디게 하셨으며, 전쟁터에서 그를 돕지 않으셨습니다.

44 그의 영광을 끝나게 하시고, 그의 왕위를 땅바닥에 내던지셨습니다.

45 주님은 또한 그의 젊은 날을 줄이시고, 그를 수치로 덮으셨습니다. (셀라)

찬양받으실 창조주 하나님( 89:46-52)

46 주님, 언제까지입니까? 영영 숨어 계시렵니까? 언제까지 주님의 진노를 불처럼 태우려고 하십니까?

47 내 인생이 얼마나 짧은지 기억해 주십시오. 주님께서 모든 인생을 얼마나 허무하게 창조하여 주셨는지를 기억해 주십시오.

48 산 사람치고 어느 누가 죽지 않고 살 수 있겠습니까? 어느 누가 제 목숨을 스올의 손아귀에서 건져낼 수 있겠습니까? (셀라)

49 주님, 주님의 신실하심을 두고, 다윗과 더불어 맹세하신 그 첫사랑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50 주님, 주님의 종들이 받은 치욕을 기억하여 주십시오. 뭇 민족이 안겨 준 치욕이 내 가슴 속에 사무칩니다.

51 주님, 주님의 원수들은 주님이 기름 부어 세우신 왕을 깔보며 가는 곳마다 모욕합니다.

52 주님, 영원토록 찬송을 받으십시오. 아멘, 아멘.

            

<말씀묵상>

하나님 언약과 다르게 다윗 왕조의 결말은 어떻게 되었나요?                                                                     

하나님은 다윗 왕조가 영원하리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나 시편 기자의 현실은 그와 달랐습니다. 북 이스라엘은 오래전에 패망했고 유다도 멸망했습니다. 하나님이 다윗왕조를 버리시고, 언약은 파기된 듯했습니다. 대적의 공격으로 성벽이 무너지고 요새들이 파괴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패했고 이방인들은 하나님을 조롱했습니다. 시편 기자의 눈에는 당면한 현실이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과는 너무나 다르게 보였습니다. 이에 시편 기자는 하나님 앞에 나아와 정직하게 질문합니다.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을 허락하신 분은 하나님입니다. 하나님앞에 나아가 기도로 씨름할 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말씀과 현실이 다르다고 느낄 때, 나는 어디에서 답을 찾나요?

말씀과 현실이 다를 때, 시편 89편의 시인처럼 나 역시 깊은 혼란과 좌절을 경험합니다. 약속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현실의 고통 속에서 가려진 듯 느껴질 때, 마음은 길을 잃고 헤매게 됩니다. 그러나 이 절망의 순간에도 나는 시인이 그랬듯, 탄식 속에서도 여전히 하나님을 향한 기도의 끈을 놓지 않습니다. 답은 당장의 해결책이 아니라, 고난 중에도 변치 않으시는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성실하심을 다시금 붙드는 데 있음을 깨닫습니다 . 결국 나는 혼란 속에서도 주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분의 침묵 속에서도 그분의 깊은 뜻을 신뢰하며 나아가는 믿음의 길을 찾습니다. 

원수의 비방 속에서 시편 기자가 하나님께 간구한 것은 무엇인가요?

시편 기자는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진노가 속히 끝나기를 간구합니다. 그는 다윗과 맺으신 주님의 언약이 지금 어디에 있느냐고 따지듯이 묻습니다. 그리고 언약이 유효하다면, 하나님이 기름 부어 세우신 왕과 택하신 백성이 더는 이방인의 조롱을 받지 않게 해 달라고 간구합니다. 하나님이 살아 계시고 자기 백성을 사랑하신다면, 이런 현실을 계속 방치하실 수는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그는 인생이 매우 짧다고 말하며, 속히 하나님 백성을 회복시켜 주시길 간구합니다. 89편은 시편 제3권의 마지막 시로, 마지막 구절은 송영으로 끝납니다. 성도는 말씀을 붙들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 정직한 마음으로 기도하고, 모든 일을 감사와 찬송으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치욕스러운 현실 가운데서 내가 하나님을 향해 간구할 것은 무엇인가요?

치욕스러운 현실 속에서 시편 기자는 "언제까지입니까?"라고 부르짖으며 하나님의 개입을 간절히 구합니다. 또한 고통스러운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주님의 얼굴이 언제 다시 빛을 발할지 간절히 묻게 됩니다. 이때 내가 간구할 것은, 주님께서 과거에 약속하셨던 변함없는 사랑과 신실하심을 다시금 기억하시고 나타내 달라는 것입니다. 또한 나의 짧은 인생과 연약함을 인정하며, 치욕과 조롱 속에서 주님의 영광이 다시 드러나기를 겸손히 구합니다. 결국, 모든 상황을 뛰어넘어 주님의 주권적인 은혜로 고통을 끝내시고, 주님의 이름이 다시 높임을 받게 달라는 것이 나의 가장 깊은 간구입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하나님의 언약이 깨어진 것 같은 현실에도 하나님만 붙들고 나아갑니다. 하나님은 부조리와 고난도 연단의 도구로 삼으시며, 합력해 선을 이루게 하심을 믿습니다. 훗날 이 시간을 돌아보며 결국 하나님이 신실하게 약속을 이루셨다고 고백하는 복된 인생이 되게 하소서.

Comments

to leave comment

© 2025 행복한교회 DFW   |   5517 Denton Hwy, Haltom City, TX US 7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