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y

언약에 충실해야 개인도 국가도 번성합니다(겔 17:1-10)

Posted by 행복한 말씀묵상팀 on

독수리와 포도나무( 17:1~6)

1 주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2 "사람아, 너는 이스라엘 족속에게 수수께끼를 내고, 비유를 들어 말하여라.

3 너는 그들에게 말하여라. '나 주 하나님이 말한다. 큰 독수리 한 마리가 레바논으로 갔다. 큰 날개, 긴 깃, 알록달록한 깃털을 가진 그 독수리는 백향목 끝에 돋은 순을 땄다.

4 독수리는 그 연한 햇순을 잘라서, 상인들의 땅으로 물고 가서, 상인들의 성읍에 놓아 두었다.

5 그리고 그 땅에서 난 씨앗을 가져다가 옥토에 심었다. 시냇가에다가 버드나무를 심듯, 물이 많은 시냇가에 그 씨앗을 심었다.

6 그 씨앗은 싹이 나고, 낮게 퍼지며 자라서, 무성한 포도나무가 되었다. 그 가지들은 독수리에게로 뻗어 올라갔고, 그 뿌리는 땅에 박고 있었다. 그 씨가 포도나무가 되어, 가지를 내뻗고, 덩굴손을 뻗쳤다.

포도나무의 배신( 17:7~10)

7 다른 큰 독수리 한 마리가 나타났다. 날개가 크고 깃이 많은 독수리다. 그런데 보아라, 이 포도나무가 뿌리를 그 독수리에게로 뻗고, 가지도 그 독수리에게로 뻗는 것이 아닌가! 이 포도나무는 새로 나타난 그 독수리를 보고 옥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물을 대달라고 하였다.

8 그 포도나무를 옥토 곧 물이 많은 곳에 심은 것은, 가지를 뻗고 열매를 맺어서 아름다운 포도나무가 되도록 한 것인데, 이 모양이 되고 말았다.'

9 그러므로 너는 그들에게 전하여라. '나 주 하나님이 말한다. 그 포도나무가 무성해질 수 있겠느냐? 그 뿌리가 뽑히지 않겠느냐? 그 열매가 떨어지거나, 그 새싹이 말라 죽지 않겠느냐? 그 뿌리를 뽑아 버리는 데는, 큰 힘이나 많은 군대를 동원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10 그러므로 그것을 심어 놓았지만 무성해질 수가 있겠느냐? 동쪽 열풍이 불어 오면 곧 마르지 않겠느냐? 자라던 그 밭에서 말라 버리지 않겠느냐?'"

            

<말씀묵상>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에 담긴 하나님 뜻은 무엇인가요?                                                                

하나님은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로 유다 상황을 설명하십니다. 여기서 '큰 독수리'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백향목의 ' 연한 햇순'은 유다 왕 여호야긴을, 그리고 '그 땅에서 씨앗을 심어 자라난 포도나무'는 여호야긴을 대신해 왕이 된 시드기야를 가리킵니다(3~6절). 느부갓네살은 유다 왕 여호야긴을 바벨론 곧 '상인들의 '으로 끌고 갔습니다. 그리고 왕족 중 한 사람인 시드기야와 언약을 맺고 그를 유다 왕으로 세웠습니다.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과의 언약에 충실할 때 유다는 번성할 수 있었습니다. 바벨론 왕과 시드기야의 관계는 하나님과 그분 백성의 관계를 비유합니다. 하나님 백성은 언약에 충실할 때 번성합니다. 

다양하고도 복잡한 상황에서 나를 향한 하나님 뜻을 어떻게 분별하나요?

나는 삶의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이 때로는 표면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로 나타날 있음을 압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의 제한된 지혜나 세상적인 계산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상황 이면에 있는 하나님의 크고 깊은 계획과 주권을 인식하려 애씁니다. 특히 나는 성경 말씀이라는 확고한 기준을 가지고 선택지가 하나님의 계명과 그분의 성품에 부합하는지 철저히 분별하려 노력합니다. 때로는 당장 나에게 유익해 보이거나 편안한 길이 아닐지라도, 하나님의 말씀에 겸손히 순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복된 길임을 신뢰하며 선택합니다. 이를 위해 나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넘어선 주님의 세미한 음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있도록, 끊임없이 기도하며 영적으로 깨어 있기를 힘씁니다. 

포도나무(시드기야)가 동풍에 말라 죽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나님은 큰 독수리를 배신한 포도나무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새로 등장하는 또 다른 '큰 독수리'는 이집트를 가리킵니다(7절). 시드기야는 바벨론 왕과의 언약을 저버리고 이집트 의지했습니다(왕하 24:18~20). 결국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공격했고, 시드기야는 이집트 의지하며 맞섰습니다. 포도나무(시드기야)가 뿌리째 다른 독수리(이집트)를 향했기에 동풍에 마르고 죽을 것이라는 비유처럼, 바벨론 왕을 배반한 유다는 바벨론에 멸망할 것입니다. 하나님은 언약을 배반한 포도나무가“번성하겠느냐?"라고 두 번이나 물으십니다(9~10절). 이는 바벨론과의 언약을 배반한 유다가 멸망당할 운명이듯, 하나님 언약을 저버린 백성은 결코 번성할 수 없음을 상기시킵니다. 

내가 변치말고 지켜야 하는 하나님과의 약속 혹은 사람과의 약속은 무엇인가요?

나는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과의 약속, 그분의 말씀에 대한 온전한 순종을 결코 변치 말고 지켜야 합니다. 특별히 나는 침례를 통해 고백했던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주와 주님으로 인정하고 그분의 뜻대로 살겠다는 삶의 고백을 항상 마음속에 새기기를 합니다. 사람과의 약속에 있어서는 나의 이해득실을 떠나, 다른 사람의 신뢰를 배신하거나 나에게 불리하다고 해서 쉽게 어기는 일을 삼가야 합니다. 세상이 신뢰를 경시하고 약속을 쉽게 깨는 경향이 있더라도, 나는 언약의 하나님을 닮아 정직함과 성실함으로 사람과의 약속을 귀하게 여기고 반드시 지키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이처럼 변치 않는 약속을 지켜 나가는 삶이야말로 나의 신앙을 증명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길임을 나는 믿습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제가 놓치고 잃어버린 것들이 하나님 안에서 회복될 줄 믿습니다. 제 힘으로 방법을 찾다가 하나님에게서 떨어져 나가는 어리석은 자가 되지 않게 하소서 제삶에 풍성한 열매가 맺히게 하실 주님을 기대하며 언약의 말씀을 붙들고 지키게 하소서.

Comments

to leave comment

© 2025 행복한교회 DFW   |   5517 Denton Hwy, Haltom City, TX US 7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