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y

헌신하는 백성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축복(민 6:13-27)

Posted by 행복한 말씀묵상팀 on

나실인의 서원의 종료 규례( 6:13-21)

13 헌신하기로 작정한 기간이 다 찼을 때에, 나실 사람이 지켜야 할 법은 이러하다. 그는 먼저 회막 어귀로 가서

14 나 주에게 제물을 바쳐야 한다. 일 년 된 흠 없는 새끼 숫양 한 마리는 번제물로 바치고, 일 년 된 흠 없는 새끼 암양 한 마리는 속죄제물로 바치고, 흠 없는 숫양 한 마리는 화목제물로 바쳐야 한다.

15 이 밖에도 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빵, 곧 고운 밀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든 과자와, 역시 누룩을 넣지 않고 겉에 기름을 발라 만든 속 빈 과자들을 한 광주리 담아, 곡식제물과 부어 드리는 제물과 함께 바쳐야 한다.

16 제사장은 이것들을 주 앞에 가져다 놓고, 속죄제물과 번제물로 바친다.

17 또 숫양에다가 누룩을 넣지 않은 빵 한 광주리를 곁들여 나 주에게 화목제물로 바친다. 제사장은 또한, 그 나실 사람이 가지고 온 곡식제물과 부어 드리는 제물도 함께 바친다.

18 그렇게 한 다음, 나실 사람은 그가 바친 자기 머리털을 회막 어귀에서 밀고, 바친 그 머리털은 화목제물 밑에서 타고 있는 불 위에 얹어 태운다.

19 나실 사람이 바친 그 머리털을 다 밀고 나면, 제사장은, 삶은 숫양의 어깨 고기와 광주리에서 꺼낸 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과자 한 개와, 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속 빈 과자 한 개를 모두 그 나실 사람의 두 손에 얹었다가,

20 그것들을 흔들어서, 그것을 나 주에게 드리는 흔들어 바치는 제물이 되게 하여야 한다. 그것들은, 흔들어 바친 가슴 고기와 높이 들어올려 바친 넓적다리 고기와 함께, 제사장이 받을 거룩한 몫이다. 이런 절차가 다 끝나면, 그 나실 사람은 포도주를 마셔도 된다.

21 이것이 바로 나실 사람이 지켜야 할 법이다. 그러나 만일 한 나실 사람이 나실 사람이 될 때에, 나 주에게 제물을 바치기로 서약하였고, 더 나아가 그가 바쳐야 하는 것 말고도 더 바치기로 서약하였으면, 그는 나실 사람이 지켜야 할 이 법을 따라, 그가 서약한 것을 그대로 실천하여야 한다."

제사장 축복( 6:22-27)

22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23 "너는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말하여라. 그들이 이스라엘 자손에게 복을 빌 때에는 다음과 같이 빌라고 하여라.

24 '주님께서 당신들에게 복을 주시고, 당신들을 지켜 주시며,

25 주님께서 당신들을 밝은 얼굴로 대하시고, 당신들에게 은혜를 베푸시며,

26 주님께서 당신들을 고이 보시어서, 당신들에게 평화를 주시기를 빕니다.’

27 그들이 나의 이름으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렇게 축복하면, 내가 친히 이스라엘 자손에게 복을 주겠다."

            

<말씀묵상>

나실인이 서원을 종료할 때 드리는 제사는 무엇인가요?                     

나실인의 서원은 하나님께 헌신하고 봉사하고자 자발적으로 하는 서원입니다. 헌신하기로 정한 기간이 끝나면, 나실인은 회막문에서 하나님께 제사를 드려야 합니다. 번제·속죄제·화목제를 드리고, 기름 섞은 무교병 등을 드립니다. 이를 통해 헌신한 기간에 지은 죄를 속죄하고 하나님과의 화목한 삶을 다짐합니다. 나실인이 회막문에서 자기 머리털을 밀고 그것을 화목제물 아래서 불사르면, 제사장은 삶은 숫양의 어깨와 무교병 등을 하나님께 요제(제물을 흔드는 의식)로 드립니다. 이런 의식을 통해 서원이 종료되었음을 공식적으로 알립니다. 하나님은 성도의 헌신을 귀하게 보십니다. 헌신할 수 있는 마음과 기회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로 화답하는 삶은 귀합니다. 

내게 헌신할 수 있는 마음을 주신 하나님께 어떻게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나실인 서원을 마치는 예식에서 다양한 제물을 드리는 것은 헌신의 동기, 기간, 그리고 결과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였음을 감사하는 표현입니다. 나의 헌신의 동기와 과정, 결과 모두 주님께 영광을 돌리는 감사의 표시를 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만과 인정 욕구를 경계하고 하나님께 순전히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헌신을 통한 수고나 성과에 대한 개인적인 자랑이나 보상을 바라는 마음은 하나님의 일에 동참하고도 죄의 세력에 사로잡힐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보좌로 나아가 그분의 얼굴을 구하고 은혜와 평강을 구하는 기도를 드릴 수 있습니다. 나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십자가의 긍휼로 나아가 하나님의 복을 받아들이는 것이 감사의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아론과 그의 아들들은 어떤 내용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축복해야 했나요?

하나님은 언약 백성에게 복 주길 원하십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선포할 축복의 내용을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알려 주십니다. 첫째, 하나님은 자기 백성에게 복을 주시고 질병과 악과 재난으로부터 지켜 주길 원하십니다. 둘째, 하나님은 그분의 얼굴을 비추시고 은혜 베풀길 원하십니다. 셋째, 하나님은 평강 주길 원하십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담은 이 축복이 선포될 때, 하나님이 자기 백성에게 복을 주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성도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은 축복, 평안, 소망입니다(렘 29:11). 하나님의 보호, 은혜, 평강 없이는 이 땅에서 결코 복된 삶을 누릴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만복의 근원이십니다. 

민수기 6장 24~26절 말씀으로 내가 축복할 지체는 누구인가요?

축복의 말씀으로 축복할 지체는 이스라엘 자손 전체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또한 하나님의 백성된 가족과 이웃과 형제자매들을 이렇게 축복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복을 베푸시고 모든 위험과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해주시기를 바라며 축복할 있습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밝은 얼굴로 당신을 대하시고, 따뜻하게 보살펴 주시며, 웃으시며 긍휼히 보아주시기를 바라며 축복할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한이 없으며,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에 필요합니다. 고난조차도 하나님의 은혜의 통로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고이 보시어 평화를 주시기를 바라며 축복할 있습니다.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른 참된 평화, 마음의 평화을 의미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평화를 구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평생 하나님과 동행하며 몸과 마음을 거룩하게 구별해 드리기들 기도합니다. 저들 성령으로 충만하게 하셔서, 하나님 백성으로 선택된 감격으로 즐거이 헌신하게 하소서. 은혜와 평강으로 저들 보호하시고 이끄시는 하나님의 복을 누리며 전하게 하소서.

Comments

to leave comment

© 2025 행복한교회 DFW   |   5517 Denton Hwy, Haltom City, TX US 7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