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영광을 위한 예수님의 교훈(요 7:14-24)
하나님으로부터 온 교훈(요 7:14-19)
14 명절이 중간에 접어들었을 즈음에,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서 가르치셨다.
15 유대 사람들이 놀라서 말하였다. "이 사람은 배우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저런 학식을 갖추었을까?"
16 예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나의 가르침은 내 것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분의 것이다.
17 하나님의 뜻을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이 가르침이 하나님에게서 난 것인지, 내가 내 마음대로 말하는 것인지를 알 것이다.
18 자기 마음대로 말하는 사람은 자기의 영광을 구하지만, 자기를 보내신 분의 영광을 구하는 사람은 진실하며, 그 사람 속에는 불의가 없다.
19 모세가 너희에게 율법을 주지 않았느냐? 그런데 너희 가운데 그 율법을 지키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어찌하여 너희가 나를 죽이려고 하느냐?"
외모가 아닌 공의로 판단하라(요 7:20-24)
20 무리가 대답하였다. "당신은 귀신이 들렸소. 누가 당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말이오?"
21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한 가지 일을 하였는데, 너희는 모두 놀라고 있다.
22 모세가 너희에게 할례법을 주었다. -사실, 할례는 모세에게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조상들에게서 비롯한 것이다. - 이 때문에 너희는 안식일에도 사람에게 할례를 준다.
23 모세의 율법을 어기지 않으려고, 사람이 안식일에도 할례를 받는데, 내가 안식일에 한 사람의 몸 전체를 성하게 해주었다고 해서, 너희가 어찌하여 나에게 분개하느냐?
24 겉모양으로 심판하지 말고, 공정한 심판을 내려라."
<말씀묵상>
예수님의 교훈이 진실하고 참된 근거는 무엇인가요?
초막절은 7일간 지키는 절기입니다(레 23:34). 예수님이 명절 중간에 성전에 가셔서 가르치십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이 공식적인 랍비 학교에 다니지 않으셨음에도 뛰어난 교훈을 전하시는 것을 보고 놀랍니다. 예수님의 교훈은 곧 하나님의 교훈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보내신 하나님이 교훈의 출처라고 하십니다(16절). 자신의 영광이 아니라, 자신을 보내신 이 곧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 것이 교훈의 목적이라고 하십니다(18절). 그러므로 예수님의 가르침은 불의가 없고 진실합니다. 복음 전도자에게 가르침의 동기와 목적은 오직 하나님의 영광이어야 합니다.
나의 일(사역, 가르침)에는 내 영광이 아닌 하나님 영광을 위한 동기가 분명히 드러나나요?
예수님은 자신의 가르침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게서 온 것이라고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만약 가르침이나 사역이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이는 자기 영광을 위한 동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바탕으로 가르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자신의 학식이나 경험을 내세우기보다, 하나님의 말씀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 뜻을 밝히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성령 충만함으로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그 뜻에 따라 가르치고 사역해야 합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이 없이 성경 지식만으로 가르치는 것은 또 다른 학식에 불과합니다. 만약 자신의 가르침이나 사역에서 자기 영광을 구하는 모습이 조금이라도 보인다면, 즉시 회개하고 하나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는 사람들의 인정이나 칭찬보다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구해야 합니다.
예수님이 외모로 판단하지 말라고 유대인들을 책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수님은 안식일 치유 사역에 대해 변론하시며, 유대인이 안식일에도 시행하는 할례를 예로 드십니다. 유대인은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제8일에 언약 백성의 표시인 할례를 행합니다(레 12:3). 할례를 행할 시기가 안식일과 겹치는 경우, 할례 규례를 더 중시해 안식일에도 할례를 행합니다. 할례는 모세 이전 아브라함 때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22절; 창 17:9~14). 예수님이 38년된 병자를 안식일에 고치신 것(5:8~9)은 안식일 규례보다 인간의 생명을 우선시하신 일입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안식일 규례를 범했다는 명목으로 예수님을 정죄해 죽이려 합니다(5:16~18). 그들은 안식일에 일하는 자는 반드시 죽이라는 모세 율법을 내세웁니다(출 31:15). 진실한 의도를 살펴서 공의로 판단하지 않고 외모(겉모양)로만 판단하는 것은 죄가 됩니다.
어떤 판단 기준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바라보는 것이 옳을까요?
학력, 가문, 재산, 외모 등 외적인 요소는 그 사람의 일부일 뿐이며, 전부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외적인 조건만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은 오해와 편견을 낳을 수 있습니다. 거듭나지 못한 육신의 눈으로 보는 것은 피상적이며 객관적인 평가를 어렵게 만듭니다. 성령 충만을 통해 영적인 눈을 떠야 합니다. 그래서 선입견이나 편견을 버려야 합니다. 과거의 경험이나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 판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 행동이 하나님의 말씀과 가르침에 부합하는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또한 성령의 조명 아래에서 분별력을 가지고 판단해야 합니다. 그 사람의 내면의 동기를 살펴야 합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뿐 아니라, 그 행동을 하게 된 마음의 동기가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우리는 외모가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공의롭게 판단해야 합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제가 하는 말과 행동이 저 자신의 영광을 구하는 것은 아니었는지 돌아봅니다. 주님이 기뻐하시는 뜻을 살펴 그 뜻이 제 삶에 온전히 이루어지도록 순종하게 하소서. 제 어리석은 기준을 내세워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하나님의 영광만을 구하도록 저를 이끌어 주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