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님 말씀을 막는 거듭된 죄악(겔 20:27-32)
가나안 땅에서의 반역(겔 20:27~29)
27 그러므로 사람아, 너는 이스라엘 족속에게 말하여라. 그들에게 일러주어라. '나 주 하나님이 말한다. 너희 조상은 이런 일을 저질러 나를 배반함으로써, 나를 모독하였다.
28 내가 일찍이 그들에게 주겠다고 손을 들어서 맹세한 땅으로 그들을 데리고 들어왔더니, 그들은 모든 높은 언덕과 잎이 무성한 나무를 보고, 그 곳에서 짐승을 잡아 우상에게 제물로 바치고, 거기서 나를 분노하게 하는 제물을 바쳤다. 그들은 거기서 우상에게 향기로운 제물을 바치며, 부어 드리는 제물을 바쳤다.
29 그래서 내가, 그들이 찾아 다니는 그 산당이 무엇이냐고 그들에게 꾸짖었다.' (그런 곳의 이름을 오늘날까지 ㉠바마라고 부른다.) / ㉠'높은 곳'
포로 공동체의 반역(겔 20:30~32)
30 그러므로 너는 이스라엘 족속에게 전하여라. '나 주 하나님이 말한다. 너희도 너희 조상들의 행실을 따라 너희 자신을 더럽히고, 그들의 역겨운 우상을 따라 다니며 음행을 하느냐?
31 또 너희는 온갖 제물을 바치고 너희 아들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가게 하여 제물로 바침으로써, 너희가 오늘날까지 우상들을 섬김으로써, 너희 자신을 더럽히고 있다. 그런데도 내가, 너희가 나에게 묻는 것을 허락할 수 있겠느냐? 이스라엘 족속아,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한다. 나는 너희가 나에게 묻는 것을 허락하지 않겠다. 나 주 하나님의 말이다.'"
32 "너희가 스스로 이르기를 '우리가 이방 사람 곧 여러 나라의 여러 백성처럼 나무와 돌을 섬기자' 하지만, 너희 마음에 품고 있는 생각대로는 절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
<말씀묵상>
가나안 땅에 들어간 이스라엘이 행한 악한 일은 무엇인가요?
하나님은 가나안 땅에서 이스라엘이 보인 반역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약속대로 젖과 꿀이 흐르는 아름다운 땅 가나안으로 이스라엘을 인도하셨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이 그 땅의 높은 언덕과 무성한 나무를 보고는 그곳에서 제사를 드리며 하나님을 분노하시게 만드는 제물을 바쳤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산당에서 우상을 숭배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찾아 다니는 그 산당이 무엇이냐"(29절)라고 꾸짖으셨습니다. 자신들의 필요를 채워 줄 것 같은 우상을 찾아다니던 이스라엘은 결국 가나안 땅에서 쫓겨납니다. 하나님을 버리고헛된 우상을 따른 결과는 복된 삶이 아닌 비참한 삶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하나님을 분노하시게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는 혹여 나의 행위가 주님을 분노하시게 할 때가 있지는 않은지 돌아봅니다. 이때 나는 나의 편의나 세상의 시선만을 좇아 말씀의 경계를 넘어서거나, 하나님보다 더 의지하며 추구하는 은밀한 욕망들이 있는지 면밀히 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의 분노는 결코 불합리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한 뜻이 침해당하고 내가 그분을 배신하였을 때 나타나는 거룩한 반응임을 나는 깨닫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분노하시게 하는 일이 발견된다면, 나는 즉시 그 길에서 멈추어 죄를 철저히 회개하고, 나의 모든 생각과 행동의 주인이 다시 하나님이 되시도록 헌신해야 합니다. 오직 그리할 때 나의 삶이 다시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 안에서 진정한 평안을 누릴 수 있으리라 나는 믿습니다.
바벨론에 있는 포로 공동체가 보인 반역의 모습은 어떠했나요?
하나님은 바벨론에서 포로 공동체가 보인 반역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이스라엘 족속'(30절)은 포로 공동체를 가리킵니다. 포로 공동체 안에도 과거 조상들의 죄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 뜻을 저버리고 우상을 숭배하며 자신을 더럽혔습니다. 특히 이스라엘이 여러 나라로 흩어지고 멸망하게 된 원인인 '너희 아들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가게 하여 제물로 바침으로써' 끔찍한 죄가 자행되고 있었습니다(31절). 이방 땅에서 그들은 이방의 신을 섬겨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32절). 이처럼 그들이 죄 가운데 있었기에 하나님은 그들이 바라는 소망의 말씀을 주실 수 없습니다(31절). 그들이 먼저 해야 할 일은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 돌아오는 것입니다. 진정한 회복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에서 시작됩니다.
내가 여전히 버리지 못하고 있는 죄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는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는 죄가 무엇인지 고민해 봅니다. 그것은 어쩌면 물질적인 풍요나 타인의 인정, 또는 편안함을 하나님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현대판 우상'이거나, 혹은 감추고 있는 고집스러운 죄악일 수 있습니다. 이 죄는 내게 익숙하고 심지어 위안을 주기도 해서, 버려야 할 것을 알면서도 쉽사리 끊어내지 못하고 마음 한 구석에 품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이 세상과 섞여 우상을 숭배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으셨으니, 이런 나의 이중적인 모습도 분명히 아파하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나는 나의 완악함을 직면하고, 이 죄를 주님 앞에 철저히 고백하며 뿌리째 뽑아내어 오직 하나님만이 내 삶의 유일한 왕 되심을 선포하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지금까지 인도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잊은 채 욕심을 위해 세상을 좇는 제 모습을 회개합니다. '하나님 백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에 부끄럽지 않도록 살게 하소서. 세상을 부러워하고 타협하는 죄에서 떠나, 참된 만족과 기쁨 되시는 하나님과 날마다 동행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