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님의 진노를 막은 중재자의 헌신(민 16:36-50)
하나님께 드린 향로(민 16:36~40)
36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37 "너는 제사장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에게 일러서, 불 탄 자리에서 향로들을 모으게 하고, 타다 남은 불은 다른 곳에 쏟게 하여라. 이 향로들은 아무나 만져서는 안 된다.
38 그 향로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죄를 짓고 목숨을 잃었지만, 그 향로는 그들이 주 앞에 드렸던 것으로, 이미 거룩하게 된 것인 만큼, 향로를 망치로 두들겨 펴서 제단에 씌우도록 하여라.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것이 경고가 될 것이다."
39 제사장 엘르아살이, 불에 타 죽은 사람들이 주님께 드렸던 그 놋향로들을 거두어다가, 망치로 두들겨 펴서 제단 위에 씌웠다.
40 엘르아살은, 주님께서 모세를 시켜 말씀하신 대로 다 하였다. 그가 이렇게 한 것은, 아론 자손이 아닌 다른 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절대로 주 앞에 가까이 가서 분향할 수 없다는 것과, 누구든지 그렇게 하였다가는 고라와 그와 합세하였던 사람들처럼 된다는 것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상기시키려 한 것이다.
염병과 아론의 중재(민 16:41~50)
41 이튿날,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모세와 아론에게 항거하면서 말하였다. "당신들이 주님의 백성을 죽였소."
42 온 회중이 모세와 아론을 규탄할 때에, 모세와 아론이 회막 쪽을 바라보니, 회막에 갑자기 구름이 덮이고, 주님의 영광이 거기에 나타났다.
43 모세와 아론이 회막 앞으로 가니,
44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45 "너희 두 사람은 이 회중에게서 떠나라. 그들을 내가 순식간에 없애 버리겠다." 이 말을 듣고, 두 사람이 땅에 엎드렸다.
46 모세가 아론에게 말하였다. "형님께서는, 향로에 제단 불을 담고, 그 위에 향을 피워, 빨리 회중에게로 가서, 그들을 위하여 속죄의 예식을 베푸십시오. 주님께서 진노하셔서, 재앙이 시작되었습니다."
47 아론이 모세의 말을 듣고, 향로를 가지고 회중에게로 달려갔다. 백성 사이에는 이미 염병이 번지고 있었다. 아론이 백성에게 속죄의 예식을 베풀었다.
48 아론이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에 서니, 재앙이 그쳤다.
49 이 염병으로 죽은 사람이 만 사천칠백 명이나 되었다. 이것은 고라의 일로 죽은 사람 수는 뺀 것이다.
50 재앙이 그치자, 아론은 회막 어귀에 있는 모세에게로 돌아왔다.
<말씀묵상>
반역자들이 사용했던 향로 250개로 무엇을 만들었나요?
하나님은 반역에 대한 심판을 대대로 기억하게 하십니다. 이를 위해 반역자들이 사용했던 향로 250개를 수거하게 하십니다. 비록 반역을 했어도 그들이 하나님께 바친 향로는 거룩하기 때문입니다. 불(재)은 다른 곳에 쏟고 향로로는 번제단을 싸는 철판을 만듭니다. 이는 대대로 하나님이 세우신 권위와 제사장직의 신성함을 기억하게 하는 기념물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후로는 누구도 고라와 그 무리처럼 불순종과 반역을 하지 않도록 경고하기 위함입니다. 지도자에 대한 도전은 그를 세우신 하나님에 대한 도전입니다. 권위주의는 배격해야 하지만,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하나님이 세우신 권위는 마땅히 존중해야 합니다.
내 삶에 불순종과 거역에 대한 기념물처럼 남겨서 기억할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그것은 물리적인 형태의 물건이 아니라, 과거의 불순종이나 거역으로 인해 겪었던 경험과 그로 인해 남겨진 교훈입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죄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생명과 연관된 악한 행위이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파괴하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기억하게 합니다. 이러한 기억은 죄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지하게 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줍니다. 이러한 기억은 죄의 상처와 아픔을 상기시키지만, 동시에 그러한 죄와 심판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베푸신 용서와 회복의 은혜를 기억하게 합니다. 백성들의 완악함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모형인 모세와 아론이 끝까지 중보하며 속죄하여 백성들이 살아남았음을 봅니다. 따라서 나의 완악함에도 불구하고 나를 구원하신 전적인 은혜를 기억하게 하며, 십자가를 통한 속죄만이 죄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길임을 확인시켜 줍니다.
모세와 아론은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회중을 어떻게 지켜 냈나요?
온 회중이 고라와 그 무리의 죽음에 대해 모세와 아론에게 책임을 묻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깨닫지 못하고, 모세와 아론을 치려 합니다. 하나님이 즉시 개입해 회중을 멸하려 하시니, 모세와 아론이 회중을 지켜 내기 위해 다시 엎드려 간구합니다. 염병이 이미 시작되었기에 모세는 아론에게 향로를 가져다가 제단의 불로 향을 피워 회중을 속죄하라고 합니다. 아론이 향로를 가지고 달려가 속죄하니 1만 4,700명이 죽고 염병이 멈춥니다. 아론의 속죄로 염병이 멈춘 것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서 중재하는 제사장이 누구인지 분명히 보여 줍니다. 또한 이 사건은 진노하시는 하나님 앞에 지도자의 중보 기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우쳐 줍니다.
나를 핍박하는 사람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무엇인가요?
나를 핍박하거나 원망하는 사람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그들을 위해 중보하며 죄 사함을 구하는 것입니다. 아론이 향로를 가지고 회중에게 달려가 백성을 속죄한 행위는 예수님의 십자가를 떠올리게 합니다. 번제단의 불로 향을 피워 백성들의 죄를 위하여 속죄하라는 것은, 십자가는 하나님의 진노의 심판이 집행된 곳이며, 그곳에서 심판받아 마땅한 자들을 속죄하는 은총을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배신하고 저주하고 거역하는 죄인들을 위하여 굳이 십자가를 지시고, 악독하고 패역한 자들의 죄와 저주와 사망을 대신 짊어지셨습니다. 백성들이 완악하여 심판이 집행될 수밖에 없을지라도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끝까지 우리를 속죄하여 주십니다. 우리가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것은 향기로운 제물이 되신 아들의 전적인 은혜 때문입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끊임없이 원망하며 불순종하는 저를 인내하시고 용서하신 그 사랑에 감격합니다! 저를 비난하고 공격하는 사람을 만나게 될 때 그들을 용납하시는 주님 마음을 제게 부어 주소서. 지체들 모두가 주님이 세우신 지도자를 존중하며, 주님이 기뻐하시는 공동체를 이루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