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y

죄인을 구원하시는 크신 은혜(딤전 1:12-20)

Posted by 행복한 말씀묵상팀 on

박해자에서 사도로(딤전 1:12-17)

12 나는 나에게 능력을 주신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께 감사를 드립니다. 주님께서 나를 신실하게 여기셔서, 나에게 이 직분을 맡겨 주셨습니다.

13 내가 전에는 훼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은 내가 믿지 않을 때에 알지 못하고 한 것이므로, 하나님께서 나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셨습니다.

14 우리 주님께서 나에게 은혜를 넘치게 부어 주셔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얻는 믿음과 사랑을 누리게 하셨습니다.

15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오셨다고 하는 이 말씀은 믿음직하고, 모든 사람이 받아들일 만한 말씀입니다. 나는 죄인의 우두머리입니다.

16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나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그 뜻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끝없이 참아 주심의 한 사례를 먼저 나에게서 드러내 보이심으로써, 앞으로 예수를 믿고 영생을 얻으려고 하는 사람들의 본보기로 삼으시려는 것입니다.

17 영원하신 왕, 없어지지도 않고 보이지도 않는,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 무궁토록 있기를 빕니다. 아멘.

믿음의 선한 싸움(딤전 1:18-20)

18 아들 된 디모데여, 이전에 그대에 관하여 내린 예언을 따라 내가 이 명령을 그대에게 내립니다. 그대는 그 예언대로 선한 싸움을 싸우고,

19 믿음과 선한 양심을 가지십시오. 어떤 사람들은 선한 양심을 버리고, 그 신앙 생활에 파선을 당하였습니다.

20 그렇게 된 사람 가운데 두 사람이 바로 후메내오와 알렉산더입니다. 나는 그들을 사탄에게 넘겨주었습니다. 그것은 내가 그들을 응징해서, 다시는 하나님을 모독하지 못하게 하려고 한 것이었습니다.

            

<말씀묵상>

바울이 주님의 긍휼로 변화된 이야기는 누구에게 본보기가 되나요?                                                                     

하나님은 한 영혼을 구원하기 위해 오래 참으시는분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회심을 예로 들어 하나님 은혜를 설명합니다. 회심하기 전의 바울은 예수님과 교회를 반대한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죄인 중에 괴수인 바울을 긍휼히 여기셨고 그에게 넘치는 은혜를 주셨습니다. 바울이 용서받았다면, 그 누구도 주님의 은혜에서 배제될 수 없습니다. 예수님은 의인이 아닌 죄인을 구원하려고 이 땅에 오셨습니다. 바울의 변화는 장차 주님을 믿고 영생을 얻게 될 이들의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주님은 바울에게 능력과 은사를 주시고 사도의 직분까지 맡기셨습니다. 바울은 자신에게 은혜와 긍휼로 임하신 영원하신 왕,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을 돌립니다. 

내가 믿음을 갖게 되기까지 주님의 오래 참으심은 어떠했나요?

하나님 앞에서 우리 모두는 영광에 이르지 못하는 죄인이며, 스스로의 의로움이나 세상적 가치관에 빠져 하나님을 모르던 암울했던 시절을 돌아볼 때, 주님의 긍휼 없이는 구원받을 수 없는 자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내가 얼마나 큰 죄인인지 알수록 주님께 대한 감사가 커집니다. 주님의 은혜는 언제나 우리의 죄보다 크고 풍성합니다. 이 은혜는 죄인을 변화시키는 실제적인 능력으로, 우리에게 믿음과 사랑을 함께 가져다줍니다. 바울이 자신에게 긍휼을 베푸신 목적이 후에 주님을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고 고백했듯이, 우리 역시 구원받은 성도로서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고, 복음의 통로가 되어 선한 싸움을 싸워야 합니다. 나의 능력 없음에 낙심하지 않고 주님만을 의지하며 담대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후메내오와 알렉산더가 믿음의 길에서 파선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바울은 디모데에게 '선한 싸움'을 싸우라고 합니다(6:12; 딤후 4:7). 선한 싸움은 복음의 진리와 믿음을 지켜 내는일로, 거짓 교사뿐 아니라 악한 영(엡 6:12)이 그 싸움의 대상입니다. 또한 바울은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고 합니다. 착한 양심은 믿음을 따라 행하는 결단과 순종입니다. 양심을 버리거나 믿음의 싸움을 등한시하면 후메내오와 알렉산더처럼 신앙생활에서 파선하게 됩니다. 바울이 그들을 사탄에게 내주었다는 말은 그들에게 회개할 기회를 주었다는 뜻입니다(20절). 믿음을 저버리는 행위는 하나님을 모독하는 죄입니다. 성도는 복음을 굳게붙들고 선한 싸움을 이어 가야 합니다. 

내가 피하지 않고 끝까지 감당해야 하는 선한 싸움은 무엇인가요?

싸움은 물리적인 싸움이나 육신의 싸움이 아닙니다. 악한 영과의 싸움이며, 자신의 정욕, 세상의 악과의 싸움입니다. 하나님과 복음을 위한 싸움이며, 세상 싸움에서 싸우는 사람이 드러나는 것과 달리, 선한 싸움에서는 주님이 드러나십니다. 세상 사람과 다른 원리, 즉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따라 우리가 신앙인으로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 자체가 선한 싸움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나 자신을 세우기 위한 싸움이 아니라, 하나님과 복음을 위한 싸움입니다. 따라서, 선한 싸움은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 자체이며, 우리가 받은 구원의 은혜와 긍휼에 대한 감사에서 비롯되어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과 능력을 의지하며 겸손히 지속해 나가야 영적인 투쟁입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연약하고 미련하며 자격 없는 저를 불러 주시고 자녀 삼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십자가 은혜로 거듭났으니 이제 한평생 주님의 일에 동참하며 주님께 영광 돌리게 하소서. 말씀 붙들고 믿음의 선한 싸움에서 주님의 군사로서 늘 승리하게 하소서.

Comments

to leave comment

© 2025 행복한교회 DFW   |   5517 Denton Hwy, Haltom City, TX US 7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