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죄의 돌을 버리고 사랑과 용납으로(요 7:53-8:11)
종교 지도자들의 시험(요 7:53-8:5)
53 [그리고 그들은 제각기 집으로 돌아갔다
8:1 예수께서는 올리브 산으로 가셨다.
2 이른 아침에 예수께서 다시 성전에 가시니, 많은 백성이 그에게로 모여들었다. 예수께서 앉아서 그들을 가르치실 때에
3 율법학자들과 바리새파 사람들이 간음을 하다가 잡힌 여자를 끌고 와서, 가운데 세워 놓고,
4 예수께 말하였다. "선생님, 이 여자가 간음을 하다가, 현장에서 잡혔습니다.
5 ㉠모세는 율법에, 이런 여자들을 돌로 쳐죽이라고 우리에게 명령하였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뭐라고 하시겠습니까?" / ㉠레 20:10; 신 22:22-24"
예수님의 답변(요8:6-11)
6 그들이 이렇게 말한 것은, 예수를 시험하여 고발할 구실을 찾으려는 속셈이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몸을 굽혀서, 손가락으로 땅에 무엇인가를 쓰셨다.
7 그들이 다그쳐 물으니, 예수께서 몸을 일으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 가운데서 죄가 없는 사람이 먼저 이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
8 그리고는 다시 몸을 굽혀서, 땅에 무엇인가를 쓰셨다.
9 이 말씀을 들은 사람들은, 나이가 많은 이로부터 시작하여, 하나하나 떠나가고, 마침내 예수만 남았다. 그 여자는 그대로 서 있었다.
10 예수께서 몸을 일으키시고, 여자에게 말씀하셨다. "여자여, 사람들은 어디에 있느냐? 너를 정죄한 사람이 한 사람도 없느냐?"
11 여자가 대답하였다. "주님, 한 사람도 없습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 가서, 이제부터 다시는 죄를 짓지 말아라."]]
<말씀묵상>
종교 지도자들이 죄의 현장에서 잡아 온 여자를 예수님 앞에 세운 의도는 무엇인가요?
종교 지도자들은 기득권과 잘못된 종교적 신념으로 예수님을 적대시합니다. 그들은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신 일로 인해 예수님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습니다(5:18; 7:1). 예수님을 대중 앞에서 고발할 구실을 찾고자(6절) 그들은 간음 현장에서 여자를 붙잡아 옵니다. 간음을 행한 남자와 여자를 모두 데려와야 하는데, 여자만 데리고 와서 그녀에게 모든 죄를 덮어씌우며 예수님을 시험합니다.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남녀를 돌로 치라고 규정합니다(레 20:10; 신 22:22). 율법에 따라 간음한 여인이 죽을 위급한 상황에서 모두가 예수님의 말과 행동에 주목합니다.
나는 누군가를 시험에 빠뜨리거나 정죄한 적은 없나요?
갓난아이조차도 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모두 하나님 앞에서 죄인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나를 포함한 모든 인간은 죄의 가능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우리는 자기 의에 빠져 타인을 정죄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율법을 이용하여 타인을 심판하는 것은 율법의 본래 목적에서 벗어난 행위이며, 죄 있는 자가 죄 있는 자를 정죄할 자격은 없다고 예수님은 가르쳐 주십니다. 예수님은 죄를 가볍게 여기지 않으셨지만, 죄인을 정죄하기보다는 회개하고 새로운 삶을 살도록 인도하셨습니다. 우리 또한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을 정죄하기보다는 용서와 사랑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려던 이들이 모두 떠나간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수님은 종교 지도자들의 의도를 아셨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여자에게 돌을 던지는 것이 옳지 않다고 하면, 율법을 위반했다며 예수님을 고발할 것입니다. 만약 모세의 법대로 돌로 치라고 하면, 예수님이 지금까지 보여 주신 사랑의 표적이 위선이었다며 비난할 것입니다. 예수님은 몸을 굽혀 손가락으로 땅에 무언가를 쓰십니다. 그리고 일어나 답변을 하십니다. "너희 가운데서 죄가 없는 사람이 먼저 이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7절). 이 말씀으로 돌을 들고 서 있는 모든 사람이 죄인임을 상기시키신 것입니다. 예수님이 다시 몸을 굽혀 손가락으로 땅에 무언가를 쓰시는 사이에 양심의 가책을 느낀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가고 여자만 남습니다. 예수님은 여자에게 "이제부터 다시는 죄를 짓지 말아라."(11절)라고 하십니다. 죄 사함을 받은 자의 선택은 거룩한 삶이어야 합니다.
정죄의 돌을 버리고 내가 용납하고 보듬어야 하는 지체는 누구인가요?
간음하다 현장에서 잡힌 여인처럼 죄인으로 낙인찍혀 비난받는 사람은 가장 먼저 우리가 용납하고 보듬어야 할 대상입니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고통받는 상황에 놓여 있으며, 정죄와 심판보다는 용서와 사랑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죄의 유혹에 약한 모든 지체를 정죄하기보다는 그들의 연약함을 이해하고 격려하며, 다시 죄를 짓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을 비판하고 정죄하는 사람은 자신의 죄는 보지 못하고 남의 죄만 들춰내는 위선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선적인 비판자들 또한 예수님의 용서와 사랑이 필요한 대상이며, 그들을 정죄하기보다는 스스로를 돌아보고 회개하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우리는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타인을 배척하거나 정죄해서는 안 되며, 모든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존귀한 존재로 존중해야 합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죄 가운데 살다가 주님 앞에 붙들려 온 여인의 모습에서 저를 봅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시는 주님 앞에 철저히 회개하게 하소서. 주님이 십자가에서 저의 죄를 대신 지신 것을 기억하며, 정죄의 돌을 내려놓고 다른 사람을 용서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