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약궤를 중심에 둔 믿음의 행진(수 6:1-14)
여리고성 전투 방법(수 6:1~7)
1 여리고 성은 이스라엘 자손을 막으려고 굳게 닫혀 있었고, 출입하는 사람이 없었다.
2 주님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여리고와 그 왕과 용사들을 너의 손에 붙인다.
3 너희 가운데서 전투를 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은, 엿새 동안 그 성 주위를 날마다 한 번씩 돌아라.
4 제사장 일곱 명을, 숫양 뿔 나팔 일곱 개를 들고 궤 앞에서 걷게 하여라. 이레째 되는 날에, 너희는 제사장들이 나팔을 부는 동안 성을 일곱 번 돌아라.
5 제사장들이 숫양 뿔 나팔을 한 번 길게 불면, 백성은 그 나팔 소리를 듣고 모두 큰 함성을 질러라. 그러면 성벽이 무너져 내릴 것이다. 그 때에 백성은 일제히 진격하여라."
6 눈의 아들 여호수아가 제사장들을 불러서 말하였다. "언약궤를 메고 서시오. 그리고 일곱 제사장은 제각기 일곱 숫양 뿔 나팔을 들고 주님의 궤 앞에 서시오."
7 또 그는 백성에게 말하였다. "앞으로 나아가거라! 성을 돌아라! 무장한 선발대는 주님의 궤 앞에 서서 행군하여라!"
6일간의 행진(수 6:8~14)
8 여호수아가 백성에게 명령한 대로, 제각기 숫양 뿔 나팔을 든 일곱 제사장은 주님 앞에서 행군하며 나팔을 불었고, 주님의 언약궤는 그 뒤를 따랐다.
9 또한 무장한 선발대는 나팔을 부는 제사장들보다 앞서서 나갔고, 후발대는 궤를 따라갔다. 그 동안 제사장들은 계속하여 나팔을 불었다.
10 여호수아가 또 백성에게 명령하였다. "함성을 지르지 말아라. 너희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여라. 한 마디도 입 밖에 내지 말고 있다가, 내가 너희에게 '외쳐라' 하고 명령할 때에, 큰소리로 외쳐라."
11 이처럼 여호수아는 주님의 궤를 메고 성을 한 바퀴 돌게 한 다음에 진에 돌아와서, 그 밤을 진에서 지내게 하였다.
12 다음날 아침에 여호수아가 일찍 일어났다. 제사장들도 다시 주님의 궤를 메었다.
13 제각기 숫양 뿔 나팔을 든 일곱 제사장은 주님의 궤 앞에 서서, 계속 행군하며 나팔을 불었고, 무장한 선발대는 그들보다 앞서서 나아갔으며, 후발대는 주님의 궤를 뒤따랐다. 그 동안 제사장들은 계속하여 나팔을 불었다.
14 이튿날도 그들은 그 성을 한 바퀴 돌고 진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엿새 동안 이렇게 하였다.
<말씀묵상>
여리고성 정복을 위해 하나님이 명령하신 것은 무엇인가요?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여리고성 정복을 약속하십니다. 그런데 전투 방법이 특이합니다. 성 주위를 때일 한 번씩 도는 것은 물리적 전투 방법과 거리가 멉니다. 성을 도는 일은 언약궤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언약궤는 이스라엘이 요단을 건널때도 중심에 있었는데, 여리고성을 돌 때도 중심에 있습니다. 하나님이 지시하신 여리고성 정복 과정에 예배적 요소가 나타납니다. 일곱(제사장 일곱, 일곱 양각 나팔, 일곱째 날, 일곱 번)이라는 수가 그러하고(4절), 제사장들이 언약궤를 메고 성을 도는 것(4, 6절)이 그러합니다. 마치 제사장들이 여리고성을 제단 삼아 도는 듯합니다. 여리고성 정복은 사람의 전략이나 군사력이 아니라, 말씀에 대한 순종으로 이루어집니다.
내가 물리적 힘으로 행하지 않고 말씀 순종으로 행할 일은 무엇인가요?
여리고성 전투에서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힘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했습니다. 무기를 들고 싸우는 대신, 매일 성 주위를 돌라는 이해할 수 없는 명령에 순종한 것입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우리의 지혜나 능력이 아닌, 오직 하나님 말씀에 따라 행동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우리의 싸움은 혈과 육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겸손한 순종처럼, 우리도 주님의 뜻을 따를 때 참된 승리를 경험합니다.
여리고성을 돌 때 행진 순서는 어떠했나요?
여호수아는 하나님 명령을 제사장들과 백성에게 전합니다. 하나님 명령대로 제사장 일곱이 양각 나팔을 불며 나아가고 언약궤가 그 뒤를 따릅니다. 행진하는 순서는 무장한 군사(선발대), 나팔 부는 제사장들, 언약궤, 무장한 군사(후발대)입니다(8~9절). 행진하는 방법은 하루에 한 번씩 6일간 여리고성을 도는 것입니다. 일곱째 난에만 일곱 번 돕니다(3-4절). 여리고성을 돌 때 백성은 침묵을 지켜야 합니다. 양각 나팔은 전쟁의 신호이자 예배의 신호입니다. 무장한 군사의 존재는 이 행진이 군사적 행동과 무관하지 않음을 알려 줍니다. 언약궤를 중심으로 하는 행진은 하나님이 여리고성 전투를 주도하고 계심을 의미합니다.
비상식적이거나 불합리해 보여도, 하나님의 일하심을 신뢰하며 내가 겸손히 따를 것은 무엇인가요?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은 여리고성 전투에서 사람의 생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지시를 따랐습니다. 그들은 아무 말 없이 매일 성벽을 돌고 제사장들이 나팔을 부는 것을 묵묵히 행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하나님의 뜻이 우리의 이성이나 경험에 맞지 않더라도 순종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세상의 방식으로는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사랑하고 용서하라'는 예수님의 명령이 그러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통해 보여주신 겸손한 순종 자체가 가장 위대한 하나님의 일하심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하나님의 놀라운 지혜와 능력을 믿습니다. 우리가 겸손히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때, 우리의 삶 가운데서도 놀라운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주변 상황과 문제에 온통 정신을 빼앗겨 하나님의 분병한 명령을 외면했음을 회개합니다. 제 생각에 불가능하거나 불합리하게 여겨질 때도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인정하며 힘써 순종하게 하소서. 이미 승리하신 하나님의 익속을 붙들고 묵묵히 전진하게 하소서.
